본문 바로가기
약/독성학

심장 독성을 나타내는 약물

by 리뷰니스 2023. 3. 24.
반응형

심근세포 구축 장해하는 약물

안트라사이클린계 계열의 독소루비신(doxorubicin) 및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은 항암제로 자주 사용되는 약이다. 이 약들은 급성 또는 만성 심장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급성 독성은 빈맥 등 심전도(ECG) 이상으로, 투여 중이나 투여 직후에 나타난다. 항무스카린 작용 및 히스타민 유리 촉진 작용으로 추정된다.  만성 심장 독성은 치료 종료 후 수개월 도는 수십 년 경과 후에 심근증으로 나타나며, 치명적일 수 있다. 원인은 두 가지로 추측된다. 첫째는 자유 라디컬(free radical) 형성에 의한 세포막 지질 과산화 현상으로 인한 세포막 이온투과 장해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근소포체에서의 칼슘 방출 및 재흡수 기능 저하로 추정된다. 

에너지 대사에 장해를 일으키는 물질

Monofluoroacetic acid

불소 화합물이며, 독성이 강한 살서제(쥐약)로 독극물로 지정되어 있는 약물이다. TCA 회로에서 citrate대신에 oxaloacetic acid와 반응하여 monofluoro citric acid를 생산함으로써 TCA 회로가 차단된다. 심실세동을 일으켜, 소아에서는 심정지를 일으키기도 한다. 가축에서는 불소를 다량 함유하는 인산염 보충제 사료에 의해 발생한 적이 있다. 경구 섭취로 인한 중독일 경우 치료법은 위세척이다. 경련이 있을 때에는 디아제팜을, 심실세동을 보일 때에는 propranolol을 투여하여 치료한다. 

Dinitrophenol

살충제나 제초제로 사용되는 약물이다.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여, 전자 전달과 ATP 합성을 디커플링 하여 산화적 인산화를 저해한다. 경구 섭취로 인한 중독 치료법으로는 중탄산나트륨으로 위세척을 하거나, 염류하제를 공급한다. 피부 오염 시에는 비누로 세척한다. 호흡 곤란이 있을 경우 기도를 확보하여 산소 흡입을 행한다. 체온 상승 시에는 냉수 혹은 빙수를 사용하여 식히며, 생리식염수와 포도당 혼합액을 투여한다. 

Nitrates

Nitrate화합물인 니트로글리세린은 관상혈관 확장약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다량 투여 시에는 적혈구의 산소운반 기능을 현저히 감소시켜 호기적 대사계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전신성 청색증(methemoglobinemia)을 일으킨다. 경구 중독 시 치료법은 위세척이며, 기도를 확보하여 호흡유지에 노력한다.  메트헤모글로빈(methemoblobin) 양이 30% 이상이면, 메틸렌 블루를 투여한다.

이온막 투과성 및 칼슘 동원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중금속

망간, 코발트, 니켈 및 카드뮴은 심근 세포 내에 칼슘 유입을 억제한다. 그로 인해 심근 수축력, 심박수, 전기적 흥분의 방실 전도를 억제시킨다. 해독제로는 금속 킬레이트제인 EDTA가 효과적이다.

바륨 및 스트론듐은 칼슘 유입 억제 외에도 칼륨 투과성 또한 낮추어, 저칼륨혈증에 의한 자동성에 영향을 주어 빈맥을 일으킨다. 따라서 X선 촬영용으로 사용되는 황산바륨에는 가용성 바륨이 포함되서는 안된다. 바륨 및 스트론듐 중독에는 황산마그네슘을 공급하면 효과적이다. 

칼슘 길항제

칼슘 길항제인 Verapamil, Diltiazem은 고혈압이나 허헐성 심질환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심근세포에서 칼슘 유입을 억제하기 때문에, 심질환이 있는 상태에서 위험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심근 수축력의 급격한 감소, 방실전도 지연, 동방 서맥등을 유발하며 심하면 심정지가 온다. 이 경우에는 투여를 바로 중지하고, 노르에피네프린을 투여한다. 

강심배당체

대표적 강심배당체는 디곡신(digoxin)으로, 심부전 치료에 쓰이는 약물이다. 그러나 치료역이 좁아 매우 적은 양으로도 독성을 일으킬 수 있어 위험한 약물이기도 하다. 심장 독성은 방실 전도 차단, 심실성 기회 수축이나 심실성 빈맥으로 나타난다. 심한 경우 심정지 되는 경우도 있다. 

강심배당체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Na-K ATPase (Na Pump)를 수용체로 하여 그 효소 활성을 저해한다. Na pump가 20~30% 억제되었을 때에 약으로써 강심 효과를 나타낸다.  60% 이상 억제 시에는 중독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만약 혈중 칼륨 농도가 낮거나 정상인 경우에는 중독 치료법으로 염화칼륨을 투여할 수 있다. 칼륨 요법으로 개선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페니토인이나 리도카인을 투여한다.

생물 독소

Monesin은 세균(Streptoyces cinnamonesis)으로부터 얻는 항생 물질이며, 아코니틴(aconitine)은 미나리 아재과 식물 뿌리에 포함되는 알칼로이드이다. Grayonotoxin은 철쭉류에 포함되는 독소이고, 남미산 개구리에서는 barachotoxin이 발견된다. 이 독소들은 심장에서 나트륨의 유입을 증가시켜, 심근 수축력을 과하게 증가시키거나 부정맥을 일으킨다. 특히 아코니틴은 비교적 소량에서도 기외수축, 빈맥, 세동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예전에는 화살독으로도 사용되기도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