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관리15 IRP로 받은 퇴직금을 연금으로 받을 때, 연금소득세 계산법 앞선 글에서 IRP 계좌로 받은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하면 퇴직소득세를 아낄 수 있다고 간단히 말씀드렸습니다. 퇴직금을 받은 IRP 계좌를 바로 해지하면 100%의 세금을 내야 하지만, 연금으로 받으면 세금의 70%, 특히 65세 이후에는 60%만 내면 되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자세히 설명드릴께요. 일단 퇴직금으로 받은 수익의 과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퇴직금으로 받은 금액 그 자체는, 그 외 다른 소득과 분리과세 됩니다. 퇴직금으로 인해 생긴 수익은, 새액공제 받은 금액과 함께 계산됩니다. 편의상 퇴직금으로 운용한 수익은 0이라고 가정하고, 순수 퇴직금 원금으로 실제로 매년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세금은 얼마 떼는지 계산해볼게요. 퇴직금 원금을 4000만원 받았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퇴직소득세는.. 2023. 9. 14. IRP계좌로 받은 퇴직금 해지불이익 요즘은 55세 이전에 중도퇴직하면, 퇴직금이 현금으로 들어오는게 아니라 개인 IRP 계좌로 입금이 됩니다. 세전 퇴직금이 2,00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각종 불이익에 대해 고려해보겠습니다. 그런데 갑작스런 병원비로 800만원이 필요하다고 하면.. 어떻게 할까요? IRP계좌를 담보삼아 대출을 받으면 좋겠지만, IRP계좌는 담보대출이 되지 않습니다. 돈이 꼭 필요하다면, IRP 계좌를 해지하면 됩니다. 해지는 할 수 있는데 다만 불이익이 따를 뿐이죠. 퇴직소득세를 편의상 80만원이라고 가정할게요. IRP 계좌에는 80만원을 제하지 않고, 2000만원 전액이 세전으로 입금됩니다. Case 1.만 55세이후 10년 이상 연금으로 받는 경우 원래 IRP의 의도대로, 만 55세 이후에 연금으로 10년 이상 수령하면.. 2023. 9. 12. 2023 퇴직금 세금 계산법 해설 퇴직금에 붙는 세금(퇴직소득세) 계산하는 방법은 국세청 홈페이지에 자세히 나와있지만, 2023년 업데이트된 내용이 반영되어 있지 않고, 이해하기 쉽지는 않습니다. 퇴직금 계산기도 있지만, 왜 이렇게 계산되는지 궁금하신 분을 위해서, 이 글에서 각 항목 해설 및 23년 개정된 내용을 업데이트를 해드릴게요! 일단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하나씩 해설해드리면 세금을 계산하기 위함이니, 비과세 소득은 당연히 계산에서 제외해줍니다. (대부분 사람의 비과세소득은 0 입니다. 따라서 퇴직소득금액=퇴직금 전액 으로생각하면 됩니다.) 퇴직금에 대해 기본적으로 일정 금액을 공제 해주고 세금을 매기게 됩니다. 공제금액이 클수록 세금이 줄어들겠죠. 여기서 주목할점은 오래 다닐수록 공제해주는 비율이 높아진다는 겁니다. 예.. 2023. 9. 12. 이전 1 2 3 다음